google-site-verification: googlebed9ec4b913df9b0.html " /> 카카오 게임즈와 E1 주식 매수 google-site-verification: googlebed9ec4b913df9b0.html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 게임즈와 E1 주식 매수

반응형

오늘은 E1(017940)과 카카오게임즈(293490)를 매수한 내용을 함께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E1은 액면가 5,000원으로 시가총액은 코스피 391위로 시가총액이 약 4천1백억 원 정도로, 24년 1월 2일 18주를 59,500원에 매수했고 카카오게임즈는 액면가 100원으로 시가총액은 코스닥 18위로 시가총액이 약 2조 2천5백억 원으로 24년 1월 9일 11주를 26,700원에 매수하였습니다.

 

반도체 주식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서는 아직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크지 않지만 약간의 수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약간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4년 상반기는 아직 금리가 인하되지 않을 것이므로 부지런히 주식 매수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할 것 같습니다. 마침 오늘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도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이 이전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습니다. 현시점에서 금리 인하에 대해 논의하는 것 자체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면서 적어도 6개월 이상은 금리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시장경제가 지금보다 좀 더 탄탄해졌을 때 금리인하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에서도 당장은 아니더라도 상반기 내에는 베이비 스텝 정도의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하반기부터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주식 시장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올 것이고 저의 주식들도 상승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저는 애타게 그 소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카카오 게임즈와 E1 주식 매수

 

카카오게임즈는 2020년에 카카오에서 분리하여 상장된 게임 개발과 운영을 하는 회사입니다. 카카오톡이라는 확실한 자신 만의 플랫폼을 바탕으로 게임 개발과 운영에 강력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23년 3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습니다. 기존 게임과 신작 게임이 부진할 결과입니다. 작년 10월에는 바닥을 다지고 조금씩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1년도 하반기에는 116,000원까지 상승했던 주식이네요. 앞으로 점차적으로 상승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카카오게임즈와 신생 개발사 레드랩게임즈가 24년 1분기 하드코어 MMO 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롬 : 리멤버 오브 마제스티(이하 롬)' 글로벌 동시 론칭을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카카오게임즈는 '비욘드코리아' 지속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실적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주가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신호가 되길 바랍니다.

 

출처 다음 금융

 

 

E1은 84년에 창립하여 97년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LPG(액화석유가스) 유통전문회사로 LPG만을 단일 상품으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의 산유국들로부터 장기계약을 통해 LPG를 수입하여 정유사, LPG 충전소 각종 기업체 등에 공급하거나 해외로 역수출도 하는 아주 우리나라 수출 무역에 꼭 필요한 좋은 기업입니다. 23년에는 매출액은 감소했지만 각종 비용을 감소시켜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한 우량한 기업입니다. 주가 또한 큰 폭은 아니지만 작년 1월 초 44,400원을 기준으로 볼 때 주주들에게 나름 큰 수익을 제공한 효자종목입니다. 현재에는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충전, 수소 등 다양한 친환경 사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무엇보다 E1은 배당성향이 높은 관계로 배당주로도 유명합니다. 시가 배당률이 약 8 ~ 9% 정도라고 하니 주가 상승에 대한 수익과 더불어 배당 수익 또한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배당정책으로는 25년까지 당기순이익의 15% 이상의 금액을 배당을 할 계획입니다. 24년도에는 중간 배당도 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주 주주 친화적인 기업입니다. 24년~25년에도 지속적으로 좋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므로 안정적인 배당금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출처 다음 금융

 

주식 투자 중간 수익 분석

 

1월 초에 매수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네이버 카카오에 대한 수익률과 함께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구분 매수가(원) 매수량 1월11일 종가(원) 손익(주당) 손익(합계)
삼성전자 79,500 4 73,200 6,300 - 25,200
SK하이닉스 141,800 1 136,000 5,800 - 5,800
네이버 228,500 1 231,500 3,000 3,000
카카오 57,500 5 60,800 3,300 16,500
E1 59,500 18 59,500 0 0
카카오게임즈 26,700 11 27,200 500 5,500
합계         -6,000

 

전체적으로 순익(합계)은 마이너스 6,000원이네요. 거래 수수료(매수와 매도)와 같은 비용을 합치면 손실은 조금 더 큰 2~3만 원 정도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서울의 봄은 대박 났는데 반도체주의 봄은 아직 오지 않았나 보네요. 23년도 4/4분기 실적이 좋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다 보니 주가가 오르지 못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아직 시작이니 조금 더 기다려 봐야겠네요. 24년에는 반도체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하니 조금 더 기다려 봐야겠어요. 삼성전자는 8만이나 9만에서 주가가 올라오기를 기다리고 계신 분들도 은근히 많이 계시더군요. 저도 그렇게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